상단영역

본문영역

정신이상 화가가 표현한 미친 사람들의 내적진실

  • 입력 2016.03.11 14:24
  • 기자명 문국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국의 화가 리처드 닷드(Richard Dadd, 1817~86)는 병원에 입원기간 중 1840년 후반기에 들어서는 자기 자신의 정신불안정에 대해서 알아차렸으며 그 정신불안정은 일종의 계통적인 망상으로 구조화되어 그 망상은 이집트의 신들 특히 오시리스 신을 둘러싸고 주기적으로 일어난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이집트에 대한 집착은 19세기 전반의 유럽에 현실적으로 유행했던 이집트에 대한 열기의 연장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상황이 그가 이집트 여행에 즘 하여 그의 정신세계에 이상을 야기시키는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정신에 이상이 생긴 닷드는 그의 아버지를 살해하는 끔직한 일을 벌였기 때문에 결국 평생을 감옥과 같은 정신병원에 감금된 생활을 하게 되었는데 입원 후기에 들어서는 증상이 다소 호전되어 그림을 그리고 싶어 하는 것을 본 병원 당국은 이를 병원장인 찰스 후드 박사에게 보고하자 후드 원장은 예술에 대한 조회가 깊은 의사이었기 때문에 그분의 각별한 배려로 다시 그림을 그리는 것이 허용 되었으며 결국 닷드는 정신병원에서 환자생활을 하면서 그의 걸작을 많이 남길 수 있었다.

닷드가 표현한 정신이상자는 자기 자신이 경험한 정신세계에서 우러나는 그 이미지는 세속적인 일상생활의 현실과는 완전히 분리된 예술세계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표현한 경향을 보여, 그의 ‘격정(激情)을 위한 스케치 시리즈’라는 그림 중에는 극적인 장면과 개인적인 체험이 복합된 이미지가 함축된 증오, 야만, 살해, 번민, 분노 등을 나타내는 정신이상자의 깊숙한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불안을 형상화해 정신이상자의 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그림을 남기기도 했다.

닷드가 병원에 수용되고 나서 그린 그림은 주로 자기와 같은 병원에 수용되어 있는 환자를 모델로 그렸는데 ‘미쳐버린 젠(1855)’이라는 그림은 사랑하던 남성에게 버림받고 정신이상이 되어 입원하고 있는 젠이라는 여성을 그린 것이다. 머리 위에 이상한 것들을 올려놓고 있고, 옷이 흐트러진 것으로 젠이 미쳤다는 것을 표현하고 있으며, 그 눈은 한 곳을 주시하고 있어 원한이 가득 찬 눈이기는 하나 살인자의 눈과는 다르게 사납지는 않다. 무언가 고민하여 마른 얼굴에 상대의 눈을 피해 흘겨 뜬 눈으로 먼 허공을 바라보는 그녀는 입술을 굳게 다문 채 그 누구와도 소통을 거부하고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 있다.

결국 정신병동은 사회의 거울이다. 간절한 열망이 냉정한 현실 속에서 좌절되고 버려질 때 이들에겐 광기와 어두운 욕망으로 변질되기 때문인데 이를 잘 표현하고 있다. 이와 유사한 상태의 여인을 정신이상자가 아닌 화가가 정신병동에 수용되지 않은 가정에 있는 것을 표현한 그림과 비교해 보기로 한다.

벨기에 출신의 유명한 상징주의 화가 페르낭 크노프 (Fer-nand Khnopff 1858~1921)가 그린 ‘나는 나를 가둔다(1891)’라는 작품에는 사람의 정신적, 육체적 충격이 얼마나 무서운가를 잘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화가의 여동생을 그린 것인데 오빠로부터 능욕을 당하고 괴로움에 사로잡혀 있는 모습으로 그림 앞의 꽃이나 배경의 장식 모두가 쓸쓸함과 아련함을 더해준다.

특히 여인은 머리를 풀어헤치고 눈의 표정은 흰자위가 눈의 태반을 차지하고 동자는 위로 몰려있어 영락없는 정신병자의 눈이다. 복잡한 생각으로 가득 차 무거워진 머리를 깍지 낀 손가락 위에 올려놓고 있어 머릿속은 무척 괴로운 상태임을 표현하고 있어 어떤 정신장애가 발증(發症) 되고 있음이 잘 나타나 있다.
이런 상태가 계속되면 어떻게 될 것인지가 궁금해진다. 화가는 여인 뒤쪽에 잠의 신 히프노스의 두상을 그려놓았다. 머리에 날개가 달린 그 조각상은 그림 속의 여인을 잠의 세계로 인도하게 되는 것을 암시하는 듯싶다. 즉 잠의 신을 따라 영원히 깨어나지 않는 잠의 세계로 향할 수도 있는 듯 보인다.

즉 정신이상자의 얼굴과 몸의 표현은 닷드의 그림과 다를 것이 없는데 닷드의 경우는 그 배경을 자연 속에서 바람으로 어지럽게 흩어진 나뭇잎과 가지를 이용해 여인의 정신이상의 내적 심정을 더 실감나게 표현한 것으로 느껴진다.

닷드의 작품<격정을 위한 스케치 시리즈>중에서 ‘광란의 고통과 격노(1854)’라는 그림 역시 자기와 같은 병원에 수감되어 있는 환자 중에서 정신착란이 심해서 과격한 행동을 하기 때문에 손을 쇠사슬로 결박해서 격리시킨 환자의 모습이다.

정신착란을 일으키면 의식혼탁과 함께 사고(思考)의 맥락이 흩어져 침착하지 못하고 안절부절 하다가 환각이나 망상으로 인해 불온(不穩)한 행동을 하게 되는데 심한 경우에는 과격한 파괴행동을 하기 때문에 그림과 같이 결박하여 둔 것이다.

근육질이어서 힘세고 고집스럽게 보이는 젊은 남성이 흥분되었으면서 햇빛을 보지 못해 얼굴은 누런빛을 보이며 그는 눈을 크게 부릅뜨고 시선은 무엇인가를 응시하고 있어 매우 사나운 눈매를 보이고 있다. 그 눈에 비친 세상은 모두가 바로 보일 것 같지가 않아 원망스러운 세상에 대한 반격을 시도하려는 듯이 또 결박된 손이 불만인 듯이 높이 쳐들고 있다.

그러면서도 그는 매우 긴장하고 있으며 그 긴장된 내면의 움직임은 크게 부룻뜬 눈에서 읽을 수 있다. 굳게 다문 입술과 그 주위 그리고 미간의 주름은 그가 그간 자기를 지키기 위해 힘겹게 노력한 흔적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보면 한 인간이 인간인 것을 포기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문제인가를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듯하다.

정신병 환자를 그림으로 표현하는데 있어서 병의 상태와 환자가 보이는 증상 그리고 환자의 심정 등을 나타내는데 화가 자신이 정신적 장애의 경험이 있어 이를 표현한 것과 정상적인 화가의 그림 간에는 차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의 닷드의 그림과 유사한 정신병 환자를 그린 오스트리아의 화가 실레(Egon Schiele, 1890~1908)의 작품 ‘에두아르 코스마크(1910)’라는 그림은 화가의 친지 코스마크를 그린 것으로 그의 얼굴 모습에서 정신과 치료가 곧 필요할 정도로 위급성이 보인다. 코스마크는 최면술을 잠시 시도해 본 적이 있다는 그의 이력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할 듯싶다. 그는 피할 수 없는 시선으로 눈을 크게 부릅뜨고 관객들을 응시하고 있는 것이 정신이상자의 외형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모습이 그대로 나타나 있다. 마치 무엇인가 중요한 결심을 한 듯이 보이고 매우 공격적인 표정으로 보아 가학증 환자가 어떤 공격적인 행동을 곧 시작할 것 같은 표정으로 이런 표현이 미친 사람의 외형적인 표현이다.

이전에는 미친 사람들의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은 매우 단순해 그들의 얼굴에서 사람의 표정을 없애고 야만스러운 얼굴로 표현하는 것이 그들의 특징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하등동물의 모습을 기초로 한 어리석음, 잔인성, 흥분성, 경계성, 겁먹은 표정 등을 사람의 얼굴에 옮겨 이것을 미친 사람으로 표현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19세기말에 들어서면서 의학이나 예술 분야에서 정신병을 앓는 사람들에 대한 이미지가 보다 복잡해졌다.

그것은 의학이 발달되고 화가들에게도 의학적지식이 보급됨에 따라 정신장애자의 표현에도 변화가 생겨 미친 사람의 외형에 나타나는 모습을 그대로 묘사한 그림과 미친 사림의 내면세계를 표현한 그림의 두 형으로 나뉘게 되었다. 대체로 정신이상의 경험이 있는 화가의 경우는 의학적인 지식이 없어도 자기의 경험상 정신 병리의 내적인 문제를 예술적으로 가시화 하는데 마치 그 증상의 의미를 알고 표현하는 것 같은 감을 주는데 비해서, 아무리 예술적 표현이 능한 화가라 할지라도 정신이상자의 내면까지를 표현하는 데는 익숙지 못한 것 같다. 따라서 미친 사람 그림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 그 이미지의 배후에는 그 내적 상태를 환기시키는 특수한 테마로의 어떤 척도가 있는 듯한 감을 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