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금보성 작가, 하이퍼 이미지를 말하다

hyper-image 텍스트를 뛰어넘는 알림의 상징

  • 입력 2017.03.16 15:59
  • 수정 2017.04.12 14:47
  • 기자명 양지원(문화예술학 박사, 갤러리 블루 관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작가는 언어의 도구에서 대주제의 변환을 통해 모든 생명의 꿈인 첫 영혼으로의 회복을 말하고 있다. 들리는 언어체계를 보이는 언어로 차용했다.
 
금보성 작가는 한국의 정신적 문화의 틀 ‘한글’을 현대미술로 변환해내는 여러 작업을 걸친 ‘우리다움’을 통해 찾아낸 ‘우리 것’을 보여준다. 한국의 상징으로 존재하는 대(大)작가의 탄생을 군주의 모습에서 예술가의 흔적을 찾으며 그것을 염원해 왔다.

그의 작업실에서는 작가의 작업으로 투혼을 하지만, 동시에 예술경영의 차원에서 고민을 하게되었다. 한국의 작가를 세계의 컬렉터들에게 알리는 시각이 필요함을 절실히 느끼고 그의 눈은 외부를 바라보게 된다. ‘우리다움’의 깊은 곰삭음, 발효음식 문화에서 생각해 보는 것은 긴 시간의 번뇌와 사색이 필수라는 인식 때문이라고 한다. 5천년 역사를 가진 대한민국 문화의 부활을 알리는 새해 타종의 의미, 신예술(아르스 노바 ars nova)의 재형성기이다.

대한민국의 찬란한 유산 ‘한글’, ‘우리의 옷’, ‘소쇄원의 자연 그대로의 정원’. 쪽빛의 자연이 묻어있는 채색환경의 지질보존, 한국의 정신, 문화예술의 그 가치를 들고 마네(Edouard Manet)의 정원이 있는 도시 프랑스 파리로 한·불 교류의 그 서막인 K-art를 세계에 알리는 <2018 프랑스&아트코리아 100억 원 프로젝트>를 통한 2018년 새로운 오픈 컷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엠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