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운동 과해도 금물, 눈에 영향준다

중년남성 습성 황반변성 발생위험 높여

  • 입력 2017.12.21 10:38
  • 수정 2017.12.21 10:57
  • 기자명 신영인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좌측부터 - 세브란스병원 안과 김성수, 임형택 교수)
(좌측부터 - 세브란스병원 안과 김성수, 임형택 교수)

[엠디저널] 황반변성은 크게 습성과 건성으로 나뉜다. 건성황반변성이 상대적으로 흔하다. 황반변성 발생을 실명과 연결하는 경우가 많은데 건성황반변성이 발생했다고 실명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건성 황반변성이 진행돼 습성황반변성으로 전환되면 사물이 휘어 보이거나 시야 중심에 안 보이는 부분이 생겨 실명할 수 있다. 습성황반변성은 흔치 않은 희귀질환이다. 국내 발병률은 40세 이상 성인 1만명 당 연평균 3명 정도로 조사된다. 최근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발병율이 증가되고 있어 원인 규명과 예방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국내 연구팀이 우리나라 성인 남녀 20여만명에 대한 빅데이터를 조사하여 습성황반변성의 위험인자에 중년 남성들의 잦은 중증도 운동이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안과 김성수·임형택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이 실시한 국가검진 결과자료를 토대로 성인 운동량과 황반변성발생 가능성의 상관관계를 규명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검진 코호트 자료를 이용해 45~79세의 성인남녀 211,960명을 대상으로 2002년에서 2003년 사이에 국가검진에서 사용하는 질문항목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국가 검진 조사내용에는 대상자들의 운동량이 포함된다. 몸에 땀이 배일정도의 중강도 이상의 운동을 기준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주 5회 이상 운동(과도), 주 1~4회 운동(보통),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경우(무운동)의 세 단계로 운동회수를 나누었다.

 이후 일정시간이 흐른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동일 연구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종단적인 황반변성발생 여부를 조사했다. 조사결과, 남성 총 조사 대상군 119,924명 중 주 5회 이상의 중강도 운동량을 시행한다고 대답한 남성은 13,961명, 전혀 운동을 하지 않는다고 답한 남성은 59,912 명이었다. 잦은 운동량 집단에서는 68명이, 전혀 운동을 않는 집단의 남성군에서는 140명이 조사 기간 중 습성황반변성 증세를 보였다.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질병이 발생한 정도를 나타내는 발생률로 환산해 보면 비교가 더욱 쉽다. 1만명의 대상자를 1년 동안 추적 관찰한다고 가정했을 때, 잦은 운동량의 남성군에서는 11.8명이 습성황반변성 발생을 보였고 운동을 하지 않는 남성군에서는 5.7명이 해당됐다.

결국 잦은 중강도 운동량 집단과 운동을 시행하지 않는 집단을 비교해 봤을 때 잦은 중강도 운동량을 보이는 남성에서 54% 더 높게 습성황반변성이 발생했다. 흥미롭게도 여성의 경우에는 운동량과 황반변성 발생 사이에는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김성수 교수는 “습성황반변성은 워낙 드물고 희귀한 질환이라 장기간에 걸쳐 운동과 발생연관성을 추적 관찰했던 사례가 없었다"며 "그렇기에 이번 연구결과가 검증력 차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팀이 제시한 수치는 운동량 차이로 나눈 집단들의 상대위험비이다. 습성황반변성은 발생자체가 희귀하기에 당연하게도 절대위험비는 매우 낮아진다"며 "그렇기에 ‘황반변성을 일으킬 수 있으니 40세 이후엔 운동을 하지 말라’라는 의미로 오해 되어선 안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를 바로 임상에 적용시킴은 논리적 비약이며 무리가 따르는 해석이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지금 한 쪽 눈에 습성황반변성 증세를 지니고 있거나 고위험 건성황반변성 증세를 지닌 남성이 운동을 줄여도 충분히 건강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면 너무 과도한 운동을 삼가는 편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수준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빅테이터를 활용한 정밀의료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올해엔 이번 논문 외에도 빅데이터를 이용해 흡연이 습성황반변성 발생 고위험 인자임을 확인해 영국안과학회지에 보고한 바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의학회 안과학지에 최근 게재됐다.

저작권자 © 엠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