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장기이식 등 의료용 돼지 실용화 위해 미국과 협력

관리 시스템, 체외 실험법 도입으로 실용화 속도 낼 듯

  • 입력 2018.02.01 11:31
  • 기자명 김병수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알츠하이머 연구용 돼지.
▲ 알츠하이머 연구용 돼지.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세계 최고 수준의 돼지 자원화 연구 기관인 미국 ‘국립돼지자원연구센터(NSRRC National Swine Resource and Research Center)’와 올해부터 2020년까지 협력 사업을 추진한다.

미국 국립돼지자원연구센터는 60여 종의 일반 돼지와 형질전환 특정 유전자가 발현되도록 한 돼지집단을 보유 관리하고 있으며, 미국 전역에서 관련 연구개발 사업을 수행하는 연구자들의 요청을 받아 돼지를 생산하고 연구를 지원하는 총괄 역할을 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바이오 이종장기용 생명공학기술(바이오)을 접목해 돼지-영장류 등에서 장기이식이 가능하도록 한 교잡종(Chicago x Landrace) 및 MGH(massachusets General Hospital) 품종, 의료용 단백질 생산용 돼지 5종, 신경퇴행성질환 연구용 돼지 1종을 개발해 보유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 이종장기용 돼지를 여러 부처의 이종이식 연구용으로 지원하는 등 국내 이종이식 연구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형질전환 돼지를 생산해 정상적인 성장과 기능 검증, 후대 생산을 통한 집단 조성과 활용까지는 최소 3〜4년이 소요되며, 이 과정에서 전문화된 사육 시설 운영 인력과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미국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병원균 제어 시설 관리 시스템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생식세포 동결보존 △생체를 대체할 체외 실험법 등의 기술을 도입,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협력으로 도입한 기술은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수정하고 보완해 국내 형질전환 가축 개발과 관리 표준화에 활용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동물바이오공학과 임기순 과장은 “형질전환 가축을 이용한 바이오·의료 소재용 동물 수요는 갈수록 확대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형질전환 가축의 개발·관리 표준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 방안을 미리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지노’, ‘믿음이’, ‘소망이’, ‘사랑이’ 등의 형질전환 돼지를 개발해 심장(60일 생존), 췌도 세포(181일), 각막(234일) 이식과 피부재생(무세포 진피) 등의 성과를 냈다.

저작권자 © 엠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